뤄이딩멩(雷鼎鳴) - 중국에 가장 적합한 투자 비율
중국의 고도의 경제성장이 계속 될 지에 대해 온세계가 주목하고 있다.
일부 계량경제모델 및 '성장 계산'의 방법으로 2000년부터 2011년 중국경제성장의 근원을 분석해보면 쉽게 자본의 축적(투자)이 이 시기동안의 GDP 성장의 주요 동력이고 GDP 성장 중 68.3%이 자본 축적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을 쉽게 도출해낼 수 있다. 다른 중요한 요인은 총 생산 효율(Total Factor Productivity)의 발전인데 GDP 성장에 대해 29.8%를 기여한다. 남은 노동력 증대는 1.8% 만 기여한다. 이로써, 미래의 상황을 추측해볼 수 있는데, 자본 축적이 어찌하여 이렇게 중요한지 연구하지 않을 수가 없다.
투자량은 GDP의 48% 이상 차지
중국의 총 저축율은 2011년에 GDP의 52%를 차지하였으며 세계에서 2번째로 가장 높았다. 이렇게 모은 자금 대부분이 현지 투자에 사용된다. 2011년 중국의 투자량은 GDP의 48.3%를 차지했으며 전세계 1위였다. 그러나 투자(혹은 저축)가 일단 고공행진한다면 남은 것은 소비의 상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어느 정도는 부족할 수도 있다. 중국의 개인과 정부 소비의 총 합계는 GDP의 48%를 차지하는데 이는 가장 낮은 비율이다.
여기서 문제를 하나 제기할 수 있다. 이렇게 높은 투자율(혹은 이렇게 낮은 소비율)이 국민의 장기적 이익에 부합할 것인가? 경제학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다양한 대답을 하고 있다. 1961년 Edmund Phelps가 쓴 문장에서 'Golden Rule of Saving(저축의 황금 규칙)'이라는 것을 제기했다. 만일 국민이 GDP 전부를 소비한다면, 그들은 비교적 높은 소비를 향휴할 수 있다. 그러나 문제는 투자에 쓸 생산액이 없다면 미래의 GDP 상황은 갈수록 악화될 것이고 국민의 소비 또한 시간이 갈수록 한단계씩 하락할 것이다. 상대적으로 만일 국민이 생산액 100%를 투자에 쓴다면, 이는 지금 현재 제로(0) 소비만 있기에 모두 다 굶주려 죽을 것이다. 이렇기에 최적의 저축율은 현재와 장기적인 미래의 이익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것이며 그 기준 중 하나는, 무슨 저축율이 향후 수 십년(혹은 더 장기적으로)동안 국민 소비의 총 합계를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을까?라는 것이다. 이 저축율은 0과 100% 사이에 분명히 존재한다. 중국의 황금 저축율은 얼마일까?
지나친 저축율 과하진 않아
뤄이딩멩(雷鼎鳴) 씨는, 중국의 이렇게 높은 저축 혹은 투자율이 분명히 도가 지나쳤고, 국민은 좀 더 많이 소비를 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과거에는 그렇게 생각했었다고 한다. 만약 중국 생산효율의 발전속도가 2000년에서 2011년 사이에 매년 2.8%의 성장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, 국민 이익에 가장 부합하는 황금 저축율은 GDP의 49%라면, 총 생산율의 변화가 중단되고, 성장율이 '0'이 된다 할지라도 중국의 황금 저축율은 여전히 GDP의 39% 정도에 달할 것이다.
최근 중국의 52% 과하게 높은 저축율은 결코 지나친 수준이 아니다. 만일 생산효율이 여전히 과거의 빠른 속도로 유지될 수 있다면, 그렇다면 중국 투자의 전체적인 면에 대해서 볼 때, 양호한 순이익 잠재력이고 (이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, 단기간의 수익은 상업 주기의 파동의 영향을 받기에 투자가 반드시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아니다). 국민과 정부의 높은 저축율과 높은 투자는 합리적으로 바뀔 수 있다라고 생각한다고 했다. 설령 생산효율 개발이 중단된다 할지라도 현재 중국의 일인당 자본량은 여전히 선진국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고 고도의 투자량은 여전히 생산액에 여러 용도가 있다. 그러나 황금저축율은 늘 영향을 받을 것이나, 생산력 발전 속도가 빠를 때 만큼에 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.
중국 국민이 여전히 국가 건설을 위해 분주히 애쓰고, 많이 저축하고 많이 투자하는 게 결코 나쁜 일은 아니고, 국정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.
글 : 뤄이딩멩(雷鼎鳴)
(링크 : http://hk.news.yahoo.com/%E9%9B%B7%E9%BC%8E%E9%B3%B4-%E6%9C%80%E9%81%A9%E5%90%88%E4%B8%AD%E5%9C%8B%E7%9A%84%E6%8A%95%E8%B3%87%E6%AF%94%E7%8E%87-224541161--finance.html)